유방암 클리닉/유방암

유방암 종류 : 비침윤성유방암 / 침윤성유방암

한송이영상의학과 2017. 10. 10. 10:30

 

  유방암에 걸렸을 때,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침윤성(invasive) / 비침윤성(noninvasive, in situ) 여부에 대한 평가입니다. 이에 따라서 치료 방법과 예후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다양하게 존재하는 유방암 종류, 침윤성유방암과 비침윤성유방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 종류 : 침윤성유방암 / 비침윤성유방암


 ▶ 비침윤성 유방암


  비침윤성 유방암은 유관이나 소엽 내에 국한되어 있으며 주변 조직으로 퍼져나가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관상피내암과 소엽상피내암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비침윤성 유방암 1 ) 관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관상피내암이라는 진단은 상대적으로 좋은 소식입니다. 이는 비정상적인 세포들이 유방 내의 유관을 이루는 세포층에만 있고 유관 밖으로 퍼져나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이 때 암세포는 유방의 다른 부위나 유방 밖, 겨드랑이 임파절, 또는 몸의 다른 부위로 퍼지지 않습니다. 


  관상피내암은 수술로 제거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윤성 유방암으로 발전하지만, 완치율은 매우 높으며,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더 심각한 침윤성 유방암의 발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유방초음파에서 발견된 관상피내암>



 비침윤성 유방암 2 ) 소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


  소엽상피내암이란 유즙을 만들어 내는 소엽 내 세포층에만 암세포가 있다는 뜻입니다. 소엽상피내암은 유방암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침윤성 유방암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경고라 볼 수 있습니다.


  소엽상피내암의 발견은 다른 종양이나 유방촬영 상 보이는 이상 소견을 조직검사 하다가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위의 두 상피내암은 주변으로 퍼지지 않으므로 완치율이 90% 이상으로 매우 높습니다. 그러나 이 상피내암은 침윤성 유방암으로 발전할 수 있고, 침윤성 유방암의 발생 위험도를 높입니다.


  하지만 진단 후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생존률과 재발을 피할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높습니다. 

 




▶ 침윤성 유방암(invasive ductal carcinoma)


  침윤성 유방암은 암세포들이 정상적인 유방조직 내 장벽을 뚫고 주변 조직을 침범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비침윤성 유방암에 비해 더 심각하며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몸의 다른 곳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이 때 가까운 림프절을 먼저 침범하게 됩니다.)


  침윤성 유방암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좀 더 어렵고 시간이 더 걸리지만, 완치가 가능합니다.

 


<유방초음파 상에서 발견된 침윤성 유방암의 증례들>



  침윤성 유방암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비침윤성 유방암과 마찬가지로 가장 흔한 타입은 유관과 소엽을 침범하는 것입니다.


  유방암 중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과 HER2 양성(HER2+)인 경우는 특별한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런 암들은 대부분 유방촬영이나 초음파에서 멍울로 발견되거나 촉진에서 발견됩니다.


  염증성 유방암이나 파젯씨병처럼 드문 형태의 유방암도 있는데 이들은 뚜렷한 종괴나 멍울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침윤성 유방암 1 ) 염증성 유방암(inflammatory breast cancer, IBC)


  염증성 유방암은 드물지만 공격적인 유방암입니다. 증상이 감염이나 알러지 반응과 비슷해서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염증성 유방암의 증상은 유방이 빨갛거나 분홍빛이나 오렌지빛을 띠게 되고, 살갗이 부풀어 오른 곳과 패인 곳이 있으며 두드러기 같은 모양이 나타나서 피부는 마치 오렌지 껍질처럼 보이게 됩니다.


  또한, 갑자기 유방이 부풀고 멍 같은 어두운 반점들이 지속적으로 보이며 유두의 색깔이나 모양이 변합니다. 콕콕 찌르는 듯한 유방의 통증이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암세포들이 피부 내의 림프관을 막아서 생기는데요, 유두에서 분비물이 보이기도 하고, 겨드랑이 밑이나 쇄골 근처 림프절이 커질 수 있습니다.


  염증성 유방암은 매우 빠르게 자라고 전이되므로 매우 심각한 경우입니다. 위에 열거한 것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고 항생제를 먹어도 낫지 않는다면 반드시 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침윤성 유방암 2 ) 파젯씨병(Paget’s disease)


  파젯씨병은 드문 형태의 유방암으로서 유두 내의 유관에서 암이 발생합니다. 염증성 유방암과 달리 천천히 자라며 염증성 유방암처럼 감염이나 염증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단순히 유방 양성 염증으로 생각해서 암이 한참 진행될 때까지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파젯씨병 증상은 유두가 발갛게 되고 진물이 나며 딱지고 지고 가렵고 화끈거리는 느낌 등입니다. 치료되지 않는 발진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유두에만 국한되서 보입니다.


  만약 염증성 유방암처럼 유두의 모양이나 상태가 변하고 며칠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방암, 누구든 안심할 수 없습니다.


  많은 여성들이 만져지는 멍울이 없다면 유방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오해하십니다.


  하지만, 유방암은 대부분 종양이나 멍울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유방촬영이나 촉진 등에서 발견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암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발견되지 못하거나 오진되기도 하죠. 


  어떤 경우든지 갑자기 나타난 유방의 변화나 증상이 수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전문의에게 진료받으시고, 검사를 받으시기 바랍니다.